저자(한글) |
YAN, Lei,ZHAO, Ting-ting,WANG, Hui-juan,LI, Xiao-song,HUANG, Ai-long,TAN, Yi,LAI, Guo-qi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목적: 유체 역학 방법(hydrodynamic)을 통하여 쥐에게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공유결합폐환형 DNA(cccDNA)를 주사하여 HBV에 감염된 C57BL/6 생쥐 모델을 구축하였다. 방법: 29마리 C 57 BL/6 생쥐를 실험 그룹, 대조 그룹과 빈 대조그룹으로 나누고 유체 역학 방법을 통하여 HBV cccDNA, pAAV-HBV1.2 및 침투수(Seepage water) 등을 주사하였다. 그리고 서로 다른 시간이 지났을 때 생쥐의 혈청과 간 조직을 수집하였다. 방사성 면역측정법(Radio immunity method)을 이용하여 혈청 샘플 중 HBV의 표면 항원 HBsAg와 HBV의 e 항원 HBeAg을 검측하였다; 형광 정량 PCR 방법을 이용하여 혈청과 간조직의 HBV DNA 복제수를 검측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으로 간 조직의 HBsAg와 HBV의 핵심 항원인 HBcAg의 발현을 검측하였다; 헤마톡실린-에오신(hematoxylin eosin, HE) 염색을 이용하여 간 조직의 병리학 변화를 관찰하였다; SPSS 17.0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통계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실험 그룹의 HBsAg와 HBeAg 발현이 모두 4개 상승-하강 곡선을 나타냈다: HBsAg 최고값이 각각 3일, 3주, 7주와 9주에 나타났다; HBeAg 최고값(피크값)이 각각 1일, 1주, 4주와 10주에 나타났다. 대조 그룹의 HBsAg와 HBeAg 발현에 뚜렷한 최고값이 각각 2개 혹은 3개 나타났다: HBsAg 최고값이 각각 3일과 8주에 나타났다; HBeAg 최고값이 각각 1일, 3주와 10주에 나타났다. 빈 대조그룹에서는 HBsAg와 HBeAg을 검출하지 못했다. 실험 그룹 HBV DNA 복제수가 대조 그룹의 복제수보다 높았다(P 결론: 유체 역학 방법을 통하여 C 57 BL/6 생쥐 체내에 HBV cccDNA를 전환하였으며, HBV에 감염된 만성 HBV 생쥐 모델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대조 그룹과 비교했을 때 새로 구축한 생쥐 HBV 모델은 HBV를 더 많이 발현할 수 있다. 동물 모델은 HBV cccDNA의 감염 및 그로 인한 간 손상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기반을 마련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990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