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ANG, Yun,SHAO, Ming-wei,ZHANG, Ying-lao,LI, Shuai,LU, Yi-hui,XIAO, Xiao-hui |
초록 |
【목적】말벌(wasp) 장내 진균에 의한 털비름(Amaranthus retroflexus) 억제 활성을 연구하여 미생물 제초제를 개발하는데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11가지 장내 진균 발효액이 털비름 뿌리의 생장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활성 균주 MF06를 선별하였다. 형태학적 관찰과 분자생물학적 감정을 통하여 MF06의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실리카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글루코스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아세트산에틸 조추출물을 분리, 정제하고 대사산물1을 얻은 후, 대사산물1이 털비름 생장에 대한 억제작용을 연구하였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과 질량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대사산물1의 화학 구조를 확인하였다. 【결과】형태학적 관찰과 ITS 서열 분석을 통하여 MF06 균주가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용 질량 농도가 100 μg/mL일 때, 해당 균주 발효액의 아세트산에틸 조추출물이 털비름 생장에 대한 억제율은 68% 이상이었다. 아세트산에틸 조추출물에서 대사산물1을 분리하여 구조 감정을 진행한 결과, 푸사린산(fusaric acid)과 9,10-dehydrofusaric acid이 1:1의 비로 형성된 혼합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 측정 결과, 대사산물1은 털비름 생장에 대해 아주 강한 억제작용을 갖고 있었으며, 억제 활성의 IC 50 값은 (0.51±0.18) μg/mL로, 양성 대조군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4-dichlorophenoxyacetic acid)의 활성[IC 50 값 (0.30±0.14) μg/mL]과 같았다. 【결론】MF06 균주는 미생물 제초제로 개발될 잠재력을 갖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