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ONG, Shan,BAI, Li-heng,LI, Yan,SONG, Jin,CAO, Gui-fang |
초록 |
인간 양막 중간엽 줄기세포(hAMSCs)는 자가 증식과 다방향 분화 잠재 능력이 있으므로 줄기세포의 이식 치료에 새로운 내원을 제공하고 병변 조직 기관의 손상 복구에서 이상적인 종자 세포로 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hAMSCs의 간손상 복구 메커니즘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는 트립신(trypsin)-콜라겐 분해효소 기법을 사용하여 양막 조직으로부터 중간엽 줄기세포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면역형광기법을 통해 검사한 결과, 표면에 표기된 파형의 비멘틴(vimentin)과 단계적 특이성의 발현 항원 4(SSEA-4)가 모두 양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hAMSCs는 CD29, CD49d, CD73 표면 항원을 발현하지만, 골수 중간엽의 표면 항원 CD34, CD45와 인류의 백혈구 항원 DR를 발현하지 않는다(HLA-DR). 실시간 정량 PCR과 웨스턴 블롯 기법을 이용한 분석 결과, hAMSCs 이식을 통해 손상된 간조직의 간세포 생장인자(HGF)와 침묵 정보 조절 인자 1(SIRT-1)의 발현을 향상하고 α-평활근 엑틴(Actin)(α-SMA)과 주기성 단백질의 의존성 키나아제 억제 인자(P 27kip1 )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단백질 분자가 간세포 증식, 재생, 사멸 조절과 연관되며 간 섬유화 과정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hAMSCs 이식 후에 초래된 상술한 분자 발현의 변화는 사염화탄소(CCL 4 ) 유도의 간 손상을 개선할 수 있고 간세포 사멸을 억제하며, 간세포의 유사분열을 촉진하고 간 손상을 일정하게 복구할 수 있다. 해당 연구는 간 재생, 간 손상 복구의 신호 통로(메커니즘) 제어와 간 섬유증 예방에 대한 진일보 연구에 새로운 시사점을 주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