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different fertilization regimes on community structure and abundance of soil microorganisms in greenhouse vegetable rhizosphere soil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Ya-nan,ZENG, Xi-bai,WANG, Yu-zhong,BAI, Ling-yu,LI, Lian-fang,WU, Cui-xia,E, Sheng-zhe,MA, Shi-m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장기간 간쑤 우웨이(Wuwei City in Gansu Province)에 자리잡은 온실 채소밭을 연구대상으로, CK(대조), MNPK(유기비료와 무기비료를 배합), 1/2MNPK(1/2유기비료와 무기비료), M(유기비료), NPK(화학비료) 등 5가지 시비 처리군을 설정한 후, 말단 제한 절편 길이 다형성 분석(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T-RFLP)과 실시간 형광 정량 PCR기술을 이용하여, 근권토양 내 세균, 암모니아 산화세균과 nirK형 탈질소세균의 군락 구조와 풍도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시비와 근권 효과 모두 온실 채소밭의 토양 내 세균, 암모니아 산화세균과 nirK형 탈질소세균의 군락 구조와 풍도에 영향을 미쳤다. 시비 패턴은 근권 세균, 암모니아 산화세균과 nirK형 탈질소세균의 주요한 개체군에 영향을 미쳤으나, 다양한 기능성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었다. 세균의 16S rRNA 유전자, amoA 유전자, nirK 유전자의 최대 풍도는 각각 M, MNPK, M처리를 하였을 때 나타났으며, 각각 건토 그람당(per gram dry soil) 6.60×10 9 , 1.85×10 8 , 3.49×10 7 개 복제수를 나타냈으며, CK 처리를 하였을 때의 2.74, 2.81, 3.46배였다. 토양 pH값, 유기질과 전체 인 함량은 온실 채소밭의 근권 세균, 암모니아 산화세균과 nirK형 탈질소세균의 풍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07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fertilization regime,rhizosphere,greenhouse vegetable soil,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eal-time fluorescent quantitative PCR,시비 패턴,근권,온실 채소밭,말단 제한 절편 길이 다형성 분석,실시간 형광 정량 PC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