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CHEN, Zhe,CHEN, Yuan-yuan,GAO, Ji,LIU, Ru-liang,YANG, Zheng-li,ZHANG, Ai-ping |
초록 |
논밭 토양은 아산화질소(N 2 O)의 최대 배출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유기비료와 무기비료 혼합 시용이 후작 작물 토양의 N 2 O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기 위하여, 중국 닝샤(Ningxia) 관개 지역의 전형적인 겨울밀-해바바리 다모작 농밭 생태계에서 정적 챔버-가스 크로마토그래피법(static opaque chamber-gas chromatograph method)을 이용하여 후작 작물(해바라기)의 식재 시기에 따르는 토양 N 2 O 플럭스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작(앞작물)에 대한 시비는 후작 해바라기 토양의 N 2 O 배출에 뚜렷한 자극 효과를 보였고 N 300 -OM(210kg N·hm -2 무기비료, 90kg N·hm -2 유기비료), N 240 -OM 1/2 (195kg N·hm -2 무기비료, 45kg N·hm -2 유기비료), N 300 (300kg N·hm -2 무기비료) 및 N 240 (240kg N·hm -2 무기비료) 처리 조건에서 생장기 동안 토양 N 2 O의 평균 플럭스는 (34.16±9.72), (39.69±10.70), (27.75±9.57) 및 (26.31±8.52)μg·m -2 ·h -1 이었으며 각각 대조군의 4.09, 4.75, 3.32, 3.15배였다. 시비 처리 조건에서 해바라기 생장기 동안의 N 2 O 총 축적 배출량은 1,242.5-796.7g·hm -2 으로써 대조군의 4.67-2.99배였다. 전반 생장기 동안, 유기비료와 무기비료의 혼합 시용 처리에 따라 N 2 O 배출 속도는 모두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매달마다의 축적 배출량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화학비료의 단독 시용 처리에서 N 2 O 배출 속도는 점차 감소하였고 생장기 초기는 주요 배출 단계였으며 7월 축적 배출량은 총 배출량의 41.3%-41.8%였다. 다양한 시비 방식 조건에서, 유기비료와 무기비료 혼합 시용 처리에 따른 N 2 O 축적 배출량은 화학비료의 단독 시용에서보다 뚜렷하게 높았지만, 같은 시비 방식 조건에서 질소 시비량이 높은 처리와 질소 시비량 감소의 최적화 처리(N 300 -OM과 N 240 -OM 1/2 , N 300 과 N 240 )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뭄의 영향을 받는 조건에서, 토양 수분은 해바라기밭 토양의 N 2 O 배출을 제어하는 주요 환경 요인이었다. 유기비료와 무기비료의 혼합 시용 처리 조건에서 N 2 O의 배출 속도는 NH 4 + -N 함량과 뚜렷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모든 처리 조건에서 N 2 O의 배출 속도는 토양 NO 3 - -N 함량과 모두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로부터 유기비료의 첨가는 토양의 NH 4 + -N 공급을 지속적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N 2 O의 배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