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ess in earthworm biomarker studies and theirs applications in soil pollution risk assessment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態學報 = Acta ecologica sinica |
ISSN | 1000-0933, |
ISBN |
저자(한글) | SHI, Zhi-ming,XU, Li,HU, Fe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지렁이는 토양에서 아주 많은 중요한 생태기능을 행사하며 지렁이 바이오마커는 흔히 토양오염 위험평가 연구에 사용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지렁이 바이오마커 연구가 실제 토양오염 위험평가에 응용 가능한 여부를 탐구하는 것이다. 1) 지렁이 바이오마커의 토양오염 위험평가 시스템에서의 중요성을 토의하고 지렁이 바이오마커는 화학분석방법의 유익한 보충으로서 더 전면적이고 객관적인 토양오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 관련 연구에서 사용한 지렁이 유형, 토양 유형, 바이오마커 유형 및 기타 실험설계 요소와 최종 결과의 변이를 종합서술하였다. 현재 지렁이 바이오마커에 관한 연구는 실험실 기초 연구를 위주로 하여 대량의 바이오마커를 선별하였으며, 바이오마커의 각 유형별로 전형적인 오염물 및 그 조합에 대한 반응 메커니즘을 어느정도 밝혔다. 미래의 지렁이 바이오마커 연구는 이를 실제 토양오염 위험평가에 응용하는 가능성과 응용방법에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3) 현재 서로 다른 연구 사이에는 실험 설계에서 결과에 이르기까지 모두 아주 큰 변이가 있으며 종합비교를 통하여 완전히 확실하고 실천적 의미가 있는 결론과 성과를 획득하기가 어렵다. 이런 이유로 표준화된 지렁이 바이오마커 연구방법을 구축하여 바이오마커 관련 연구를 추진해야 한다. 4) 지렁이 바이오마커 연구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구체적인 건의를 제기하고 지렁이 바이오마커의 실제 응용을 위하여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를 제기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460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earthworm,biomarkers,soil pollution risk assessment,soil pollution early-warning,지렁이,바이오마커,토양오염 위험 평가,토양오염 조기경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