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중국은 경제성장에 따른 에너지 수요 급증과 환경오염 심화 문제를해소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집중 육성해 나가고 있다. 특히,그 중 풍력발전산업은 경제성 및 기술적 완성도가 뛰어나고, 에너지원다양화 및 산업구조 개선 노력에 부합하여 향후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전망된다. 중국은 2010년 세계 10대 풍력발전기 제조기업 중 4개를 보유하는 등 세계 풍력산업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풍력 발전설비 용량의 경우 화북, 동북, 서북을 중심으로 2004∼10년 동안 연평균 100%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또는 최근 들어 육상 풍력발전 성장의기반 위에 해상풍력발전으로 분야를 확대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결국 중국 풍력산업시장은 향후 한국 풍력발전 기업에 있어 새로운 성장과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따라서 본 논문은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풍력발전 산업현황과향후 성장 가능성을 재조명하고, 그에 따른 한국기업의 대중국 진출 가능성을 타진해 보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데이터를 근거로 중국 풍력시장의 중장기 발전을 예측해 보고, 그에 따른 중국경제에미치는 경제적 효용가치를 간단히 분석해 보았다. 또한 풍력발전 기술및 기업경쟁력 분석을 위한 각종 정성적 평가요인을 근거로 한중 양국간 대표적인 풍력발전기업간 경쟁력 평가를 진행해 보았다. 평가결과,중국 풍력발전기업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총체적 기술경쟁력 또한 한국기업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정부 및 기업의 입장에서 향후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풍력산업, 바이오매스, 원자력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성장에 주목해야 하고, 또한 향후 지속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해 나갈 필요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