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oil seed bank of typical saline wetlands in Tianjin Binhai District and CCA analysi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E, Meng-xuan,MO, Xun-qiang,LI, Hong-yuan,MENG, Wei-q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톈진 빈하이 지역(Tianjin Binhai District)에서 전형적 알칼리습지(saline wetland)를 선택한 후, 토양 종자은행 샘플을 수집하고 발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또 토양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측정하였다. 정준 상관 분석법(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을 이용하여 토양 종자은행과 토양 특성 인자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4개 샘플지역 내 토양 종자은행의 저장량은 비교적 컸으나 종 조성은 단일하였으며, 대부분의 종은 빈하이 지역의 지표(indicator) 염생식물이었다. 인공 습지에 비해, 자연 보호 습지는 종 풍부성이 높고, 군락 구조가 안정적인 정점을 갖고 있었으나, 교란을 가장 적게 받고 종자은행 밀도가 가장 낮았다. 종자은행의 종자 발아율 곡선은 불규칙적인 포물선 형태를 나타냈고, 발아량 곡선은 'S'형 분포를 나타냈으며, 토양 다짐(soil compaction) 수준은 발아율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쳤다. 토양 종자은행은 뚜렷한 수직적 계층 구조를 갖고 있었다. 토양 깊이의 증가와 더불어, 종자은행의 밀도는 감소하였으며, 10~15 cm 샘플 수집층은 여전히 대량의 활성 종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CCA 분석을 통하여, 토양 종자은행이 뚜렷한 3개 클러스터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토양 종자은행은 전체 염분량, 유기물질, pH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나, 토양의 투과성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39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ypical saline wetland,soil seed bank,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전형적 알칼리습지,토양 종자은행,정준 상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