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HE, Li-li,YANG, Hui-min,ZHONG, Zhe-ke,GONG, Pi-tao,LIU, Yu-xue,LV, Hao-hao,YANG, Sheng-mao |
초록 |
바이오숯이 농경지 토양 세균 균락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시비한 농경지 토양 세균의 총 DNA를 추출하고 16S rDNA 특이성 증폭을 진행하였으며 변성제 농도기울기 겔전기영동(DGGE)의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시비한 토양 세균 군락의 다양성에 대한 특성 묘사를 진행하였다. DGGE 결과, 서로 다른 처리 방법에서 모두 20가닥 이상의 전기영동 밴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벼밭 토양의 세균 군락이 비교적 풍부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전기영동 밴드 수량과 광밀도 값 측면에서 세균 군락 다양성 지표를 비교한 결과, 바이오숯을 시비한 토양(T2, T3, T4)의 세균 풍부도가 가장 높고 세균 개체군이 비교적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짚 환전 처리한 토양(T1)이었다. 대조 그룹 토양(CK1)의 세균 군락 풍부도가 가장 낮았다. 각 처리 그룹 사이의 세균 개체군 균일도 지수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세균 군락의 밴드 정보와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에 대한 상관성 분석을 진행한 결과, 세균 군락의 구조 변화와 각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의 상관성 크기 순서는 속효 칼륨 gt; 총 유기탄소 gt; 유효인 gt; 총 질소 gt;pH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