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직장암 환자의 골반 방사선치료에서 벨리보드 하위 경계 위치 변화의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ei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ISSN 1229-871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윤홍인,정윤선,김주호,박효국,이상규,김영석,최윤선,김미선,이하윤,장지석,차혜정,성진실,금기창,금웅섭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목적: 방광압박도구(bladder compression device) 추가에 따른 벨리보드(belly board) 하위 경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조사체적 (irradiated volume) 내의 각 장기의 체적 차이 및 선량체적히스토그람을 분석하여 벨리보드의 하위 경계의 위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5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직장암으로 수술 전이나 후에 방사선치료를 위해 벨리보드만 사용하여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경우와 방광압박도구를 추가하여 전산화 단층촬영을 재 시행한 1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중앙나이는 64세(범위, 45~75세)로 조직학적으로 선암 진단을 받고, 수술 전 혹은 후에 동시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받았다. 방광압박도구 사용 전후 각 체적과 조사체적비의 평균비교 및 복강과 골반강의 조사체적의 합과 소장의 체적비와 방광의 체적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방광압박도구 추가 후 벨리보드 하위 경계는 치골결합 부위에서 허리엉치관절 부위 상방으로 올라갔다. 방광압박도구 사용 후 소장의 조사체적은 $174.3{ pm}89.5mL$ 로 사용 전 조사체적 $373.3{ pm}145.0mL$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01), 복부골반강(abdominopelvic cavity)의 조사체적도 사용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282.6{ pm}218.7mL$ vs, $1,571.9{ pm}158mL$ , p $222.9{ pm}117.9mL$ vs. $153.7{ pm}95.5mL$ , p $33.5{ pm}14.7%$ 로 사용 전 조사체적비인 $27.5{ pm}13.1%$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13.9{ pm}7.6%$ vs. $24.2{ pm}10.2%$ , 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01443557537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직장암,벨리보드,방광압박도구,소장,방광,조사체적,Rectal cancer,Belly board,Bladder compression device,Small bowel,Bladder,Irradiated vol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