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spen Chromatography 전산모사와 HPLC를 이용한 구아닌 시토신의 분리특성연구 /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화학공학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ISSN 0304-128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박문배,김인호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0-01-01
초록 목적: 최근 저농도 벤젠노출의 적절한 지표로써 요중 trans, trans-muconic acid(t,t-MA)가 여러 연구에서 제안되고 있으나, 혈소판 수치와의 관련성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이들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4년 5월부터 6월까지 카보머, 카본블랙 등을 생산하며 일부 공정에서 벤젠을 취급하는 화학공장 근로자 326명에 대한 설문조사, 요중 뮤콘산, 혈액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일반적 사항을 포함하여 작업력, 흡연습관 등을 조사하였으며, 요중 뮤콘산의 농도는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혈액은 자동혈구분석기로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전산 입력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14.0 for Windows를 이용하였다. 결과: 조사 대상자의 요중 뮤콘산 기하평균(기하표준편차) 농도는 0.28 mg/g creatinine(2.62)이었고, 직종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흡연자의 요중 뮤콘산의 기하평균(기하표준편차) 농도는 0.32 mg/g creatinine (2.44)으로 비흡연자의 0.25 mg/g creatinine(2.77)보다 유의하게 높다(p log(platelet)과 log(t,t-MA)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r=-0.116, p=0.039), log(platelet)를 종속변수로 하는 선형회귀분석에서 log(platelet)= -0.002×Age + [-0.029×log(t,t-MA)] +2.436, R square=0.032의 회귀식을 산출하였다. 뮤콘산 90분위수(0.819 mg/g creatinine) 기준에서 두 군으로 나눈 변수와 혈소판 10분위수(175,000개)를 기준에서 두 군으로 나눈 변수를 이용해 실시한 카이제곱 검증에서, 뮤콘산 90분위수(0.819 mg/g creatinine 기준) 초과군이 이하군에 비해 혈소판 17만5천 이하 분포가 교차비 3.01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이 연구는 뮤콘산과 혈소판 수치의 상관관계에 있어 흡연의 정량화, 소르빈산과 같은 요중 뮤콘산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약물이나 감염과 같은 혈소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을 정확히 보정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지만, 요중 뮤콘산과 혈소판 수치와의 관련성을 선형회귀분석과 교차분석 등을 통하여 유의한 상관성을 관찰하였고, 향후 요중 뮤콘산 농도의 기준치 설정에 대한 참고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342076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