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중성지방이라 하면 주로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 TAG)을 가리킨다. 중성지방은 동식물세포가 지방을 저장하는 주요한 방식이다. TAG는 인체지방의 약 95%를 차지한다. 인체의 에너지평형은 TAG 합성과 이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TAG 평형이 깨짐으로써 인해 비만이 형성되고 고혈압과 심장병이 발생하며 피하지방이 손실된다. 지질대사는 지질유전자에 의해 코딩된 지방관련 조절효소를 통해 조절된다. 중성지방 대사과정은 고도로 보수적인 진핵세포 시스템이다. 포스파티데이트 인산분해효소(phosphatidate phosphatase, PAP)를 리핀(lipin)이라고도 부른다. 관련유전자 PAH1(맥주효모), LPIN1, LPIN2, LPIN3(포유동물)가 중성지방대사를 조절하는 핵심 유전자임이 최근에 학자들에 의해 입증되었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지방대사 관련 질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지방대사 조절유전자는 관련약물 개발의 표적물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PAP 관련연구에서 최근에 거둔 성과를 요약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