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solation, Attenuation, and Secondary Metabolites of Attenuated Camptothecin-Producing Endophytic Fungus Aspergillus sp. LY013 from Camptotheca acuminat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與環境生物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and environmental biology
ISSN 1006-687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PU, Xiang,LI, Guang-zhou,XIAO, Qing,YI, Jin-hai,TIAN, Yong-qiang,ZHANG, Guo-lin,ZHAO, Li-xing,LUO, Ying-ga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캠토테신(camptothecin)을 생산할 수 있는 균을 찾기 위하여 희수나무(Camptotheca acuminata) 속껍질에서 50주의 내생 진균을 분리하여 얻었다. 그리고 HPLC-DAD로 이 내생 진균의 발효 산물을 분석하고 선별하였으며 HPLC-DAD-HRMS로 캠토테신의 생산을 확실하게 입증하였다. 그 결과, 그 중 번호가 LY013인 내생 진균이 캠토테신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또 LY013 균주의 생장 형태, 균사체와 포자 분석을 거쳐 그것이 아스퍼길러스 LY013이라는 것을 감정하였다. 그러나 뒤따라 진행된 계대 배양 연구에서 LY013의 캠토테신 생산 능력이 계대 과정에서 빠르게 퇴화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LY013의 화학적 성분을 더 한층 이해하기 위해 균주의 이차 대사산물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LY013 발효 산물에서 총 아홉 가지의 복합 알칼로이드를 분리하여 얻었다. 그리고 스펙트럼법(Spectral method)과 관련 화학 기술을 이용하여 그 아홉 가지 알칼로이드가 각각 pseurotin A (1), FD-838 (2), fumitremorgin C (3), tryprostatin B (4), cyclotryprostatin B (5), 12,13-dihydroxyfumitremorgin C (6), spirotryprostatin A (7), fumiquinazoline J (8)와 fumiquinazoline C (9)라고 감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아스퍼길러스 sp. LY013을 연구하는 데 기초를 마련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866555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amptotheca acuminata,endophytic fungus,camptothecin,Aspergillus sp. LY013,희수나무,내생 진균,캠토테신,아스퍼길러스 LY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