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echanism of hepcidin in multiple myeloma related anemi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腫瘤生物治療雜誌 = Chinese journal of cancer biotherapy
ISSN 1007-385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n, Dian,Cai, Zhe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빈혈(anemia)은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MM)에서 흔히 나타나는 증상으로서 예후불량(unfavourable prognosis)과 관련성이 있다. 최근에 MM 관련 빈혈은 만성질병성빈혈(anemia of chronic disease, ACD)로서 만성염증의 자극으로 유발된다고 인정하고 있다. 헵시틴(hepcidin)은 생체의 철(Fe)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으로서 염증의 자극으로 인하여 발현이 상향조절되어 철이 세포에서 혈장으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혈청철(serum iron)의 함량을 감소시켜 빈혈을 초래한다. 헵시틴 관련 경로는 MM 관련 빈혈의 발병 메커니즘 과정의 주요 경로로서 MM 관련 빈혈을 치료하는 새로운 표적이다. 적혈구생성자극제(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 ESA) 종류의 약물은 혈청철의 함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서 MM 관련 빈혈을 치료하는 주요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ESA가 종양 관련 빈혈을 치료하는 효과의 신뢰성은 떨어지고 있다. 그 원인은 ESA가 종양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없다고 인정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주로 MM 관련 빈혈의 발병 메커니즘 및 치료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서술하였으며, 또한 주로 헵시딘(hepcidin)의 작용 메커니즘을 상세히 논술하였다. 그리고 ESA의 치료효과를 종합 분석하였으며, 헵시딘을 이용하여 MM 관련 빈혈을 표적치료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916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ultiple myeloma,anemia,hepcidin,erythropoiesis-stimulating agent,다발성 골수종,빈혈,헵시딘,적혈구생성자극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