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수온 조건이 (25±0.6)℃ 인 경우, 건강한 보리새우에 동혈주사, 근육주사 및 구복 등 방법으로 10, 10 및 30mg/kg의 마복플록사신(marbofloxacin)을 각각 투여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약물 농도를 측정하고, DAS2.0 약물동력학(Pharmacokinetic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약물 농도를 분석하고, 근육주사와 구복 방법으로 투여한 마복플록사신의 보리새우 체내에서의 약물동력학적 차이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동혈주사 후, 마복플록사신의 보리새우 체내에서의 약물동력학적 최적 모델은 가변성 흡수의 두 칸막이 열린 모델(two-compartment open model with variable absorption)이며, 표현 방정식은 C 동혈주사 = 13.373e lt;SU 13.373e ndash;1.396 t +8.28e ndash;0.062 t 이다. 근육주사와 구복 방법으로 마복플록사신을 투여한 보리새우 체내 대사과정의 최적 모델은 모두 일차 흡수의 두 칸막이 열린 모델(two-compartment open model with first-order absorption)이며, 표현 방정식은 C 근육주사 = 15.521e lt;SU 15.521e ndash;1.153 t +7.90e ndash;0.059 t -23.421e ndash;11.73 t 이고, C 구복 = 17.4 17.486e ndash;0.33 t +3.01e ndash;0.051 t -20.496e ndash;0.408 t 이다. 근육주사 후의 t max (0.25 h), t 1/2 K a (0.059 h), t 1/2 alpha; (0.601 h) 및 t 1/2 beta; (11.769 h)는 모두 구복 후의 t max (0.5 h), t 1/2 K a (1.697 h), t 1/2 alpha; (2.103 h) 및 t 1/2 beta; (13.535 h)보다 작았으며, C max (20.7858 mg/L)와 F(99.56%)는 모두 구복 후, C max (12.4774 mg/L), F(69.68%)보다 컸다. 연구 결과, 근육주사 방법으로 투여한 마복플록사신의 보리새우 체내에서의 흡수, 분포 및 해소는 모두 구복 방법보다 빠르며 더 완전히 흡수된다. 본 연구는 약물동력학적 매개변수를 후기항생 효과(post antibiotic effect, PAE)와 최소 억제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와 결합하여 마복플록사신의 투여 방법을 연구하였다. 보리새우 세균성 질병을 치료하는 경우, 13.6시간에 한 번씩 근육주사(14.30 mg/kg)하거나, 11.8시간에 한 번씩 구복(19.17 mg/kg)하는 것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