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TANG, Shao-jun,XIAO, Rong,WEN, Ye,QIN, Hao,LIU, Wei,DING, Xue-zhi,XIA, Li-qiu |
초록 |
[목적] 광둥성(Guangdong province) 토양 샘플에서 점액세균을 분리 감정하여 자원인 미생물 자료를 풍부히 하고, 점액세균의 항종양 활성을 초보적으로 연구하며, 새로운 항종양 약물의 개발과 응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방법] 불활성 대장균(inactivated E. coli) 유도법을 이용하여 광둥성 토양 샘플에서 점액세균을 분리하고, 균락 형태 관찰,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 생리 생화학적 특징 분석 및 16sr RNA 유전자 서열 상동성 분석을 통하여 감정하고 분류하였다. 서로 다른 성장 단계 대사산물의 항종양 활성을 측정하고, 2차 대사산물을 분리 정화하여 항종양 활성 성분을 획득하였으며, 항종양 활성 성분의 항종양 스펙트럼과 상응한 반치사 농도를 측정하였다. 공초점 주사레이저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을 이용하여 항종양 활성 성분이 B16에 작용한 후의 아세포 구조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점액세균 STXZ54의 새로운 균주를 분리 감정하였고, Myxococcus macrosporus STXZ54으로 명명하였다. 상기 점액세균이 생성한 항종양 활성 대사산물은 B16, Hela, HCT-116, 4T1, Hep-3B 등 여러 가지 종양세포를 억제할 수 있었다. 그 대사산물에 대한 초보적인 분리를 통하여 활성 성분 SGF5를 획득하였다. MTT 실험 결과, SGF5의 B16, Hela, Hep-3B, 4T1 세포에 대한 IC 50 는 모두 약 10ug/mL이고, HCT-116 세포에 대한 IC 50 는 70ug/mL이었다. 공초점 주사레이저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활성 성분 SGF5가 B16에 작용한 후의 아세포 구조는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다. 세포 괴사와 사멸에 대한 분석을 결합하여 SGF5가 B16 세포의 사멸을 초래할 수 있다고 초보적으로 판단하였다. [결론] 토양 샘플에서 점액세균 STXZ54을 분리하고, 그 활성 성분에 대한 세포 독성 실험 결과, STXZ54는 항종양 활성이 좋으며, 항종양 약물로 개발하는 잠재적 가치를 가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