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연구는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건강관리를 하는데 있어 건강정보를 어떻게 접근하여 획득하느냐에 따라서 건강행태 개선이 얼마나 이루어지는지 파악하고 건강행태 개선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언을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경북의 일개 대학의 224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TV의 건강 관련 방송과 건강 관련 서적보다 인터넷 검색에 대한 분석결과가 유의미하였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B=.103(p=.007), 건강정보 접근빈도가 많아질수록 B=.137(p=.008), 기존의 건강행태 점수가 높을수록 B=.431(p=.000)만큼 건강행태 개선의 점수가 증가하였다. 인터넷이 건강정보 검색에 있어 가장 인기가 있었는데 원하는 정보를 즉시 탐색하여 비교적 금방 얻어낼 수 있는 점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TV의 건강 관련 방송은 건강전문가 등이 출현하여 건강정보를 알려주므로 질적인 측면에서는 인터넷 건강정보보다 우수하나 맞춤식으로 방송을 보기에는 어느 정도 무리가 있으나 건강 관련 서적과 방송은 인터넷에서 다시보기 및 e-book으로 전환되는 점에서 인터넷 건강정보와 구분이 모호해지는 면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