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부과학 11 - 의약품의 위험은 어떻게 은폐되는가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산업보건 |
ISSN | 1225-7087,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5-01-01 |
초록 | 본 논문에서는 비색법(colorimetric method)을 이용하여 4가지 녹융호 속 식물 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해당 방법은 선형 관계가 양호하였으며(r 2 = 0.9990) 평균 회수율이 101.56%였고 정밀도와 반복성 실험의 RSD는 각각 2.94%와 1.22%였다. 본 실험의 반복성이 비교적 우수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연구 결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오맥녹융호(Meconopsis quintuplinervia)에서 가장 높았고 전연엽(Meconopsis integrifolia)과 홍화록융호(Meconopsis punicea)가 그 다음이었으며 총상록융호(Meconopsis horridula)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적었다. 4가지 약재 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변화와 해당 용도는 차이가 대체적으로 같았으며 티베트에서의 전통적인 의약품 사용 습관과 비슷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녹융호 속 약용 식물 자원의 심층 연구와 개발 이용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5885065693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