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YANG, Xiao-gang,SANG, Mei-xiang,FAN, Xiao-jie,ZHOU, Xin-liang,DING, Chun-yan,CHEN, Ping,HE, Cui-ying,SHAN, Bao-en |
초록 |
목적 : 흑색종 항원(melanoma-associated antigen, MAGE)-A4 및 종양 억제 유전자 P73이 유선암(breast cancer) 조직 및 관련된 유선암 주위 조직에서 발현 및 그에 따른 임상적 의의(clinical significance)를 연구하였다. 방법 : 중국 허베이 의과대학교 제4병원(Fourth Hospital of Hebei Medical University)에서 2007년 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유선암 질환으로 입원한 60명의 환자를 선발하여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sty assay)으로 유선암 조직 및 관련된 유선암 주위 조직에서 MAGE-A4와 P73 단백질의 발현을 검사하였고, 또한 유선암이 임상 병리 특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유선암 조직에서 MAGE-A4, P73 단백질의 양성 발현율(positive expression rates)은 63.3%(38/60), 43.3%(26/60)이고, 유선암 주위 조직에서 MAGE-A4, P73 단백질의 양성 발현율은 0(0/60), 85%(51/60)이었다(모두 P lt;0.01). 유선암 조직에서 MAGE-A4 단백질의 발현과 P73 단백질의 발현은 정상적인 양의 상관관계(positively correlated)인 것으로 나타났다(r=0.316, P=0.014). MAGE-A4 단백질의 발현과 유선암 환자의 나이, 병리 유형, 조직학적 등급(histological grade), 임상 병기(clinical stage), 종양 크기, 림프절 전이(metastatic state of lymph node), 에스트로젠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 발현, 프로게스트로겐 수용체(progestrogen receptor, PR) 발현은 관련성이 없었지만 C-erbB2 단백질의 발현과는 비정상적인 음의 상관관계(negatively correlated)인 것으로 나타났다(r=-0.259, P=0.046). P73 단백질의 발현과 유선암 환자의 나이, 병리 유형, 조직학적 등급, 종양 크기, 림프절 전이, CerbB2 발현과 모두 관련성이 없었지만 ER(r=0.274, P=0.034) 및 PR의 발현과 정상적인 양의 상관관계(positively correlated)인 것으로 나타났다(r=0.262, P=0.043). 결론 : 유선암 조직에서 MAGE-A4와 P73 단백질 발현이 잘 일어나므로, MAGE-A4 및 P73 단백질 사이에는 아마도 중요한 상호 조절 메커니즘(regulatory mechanism)이 존재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