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WCDMA 휴대전화 전자파가 인공심장 박동기 및 이식형 제세동기에 미치는 영향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ISSN 2287-5026,2288-159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정재원,최수범,박지수,김덕원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제 2세대 (2G) 휴대전화인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휴대전화는 pacemaker 및 IC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가 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 3세대 (3G) 휴대전화인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휴대전화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pacemaker 및 ICD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총 5개의 pacemaker 및 3개의 ICD를 대상으로 ECG simulator를 이용한 in-vitro 실험으로 진행하였다. 실제 WCDMA 휴대전화 대신 WCDMA 모듈 (평균 출력 : 0.25 W, 주파수 대역 : 1950 MHz)을 사용했다. WCDMA 모듈 전자파가 pacemaker 및 ICD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각 이식형 의료기기들을 WCDMA 모듈에 최대한 근접 (3 mm 이내) 시킨 후 5분간 전자파에 노출 시켰다. 실험 결과 WCDMA 모듈 전자파가 5개의 pacemaker 및 3개의 ICD에 미친 어떠한 영향도 관찰 할 수 없었다. WCDMA 휴대전화는 GSM 휴대전화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 (1800-2200 MHz)에서 더 낮은 출력(0.01-0.25 W)을 방출하기 때문에, WCDMA 휴대전화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pacemaker 및 ICD 기기들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5062342946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WCDMA mobile phone,Pacemaker,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Mal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