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LI, Xue-ming,REN, Jing,ZHOU, Peng,CAO, Ying,CHENG, Zhu-zhong,YU, Jian-qun,XU, Guo-hui |
초록 |
골반 부위 고립성 섬유종(solitary fibrous tumor, SFT)의 다검출 나선형 CT(multidetector CT, MDCT)와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특징 및 그 병리학 기초를 탐구하기 위하여, 수술 병리에 의해 증명된 13명 환자의 임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MDCT와 MRI 특징을 회고하고 분석하였다. 13명 환자 중, 6명은 CT 검사만 하였고, 5명은 MRI 검사만 하였으며, 2명은 CT와 MRI 검사를 동시에 하였다. MDCT와 MRI 영상 결과, 병소의 최대 직경은 4.0-25.2 cm(평균 11.8 cm)이었다. 6명은 분엽상을 나타냈고, 7명은 원형 또는 난원형을 나타냈다. 모든 병소 경계는 뚜렷하였고, 서로 다른 정도로 근접한 기관 구조를 압박하고 밀쳤다. MDCT 스캔에서 평평하게 스캔할 때 같은 밀도를 주요로 하는 연조직 종양이 나타났고, 그중 5명의 병소 내에서 편상의 저밀도 구역을 볼 수 있었다. MRI 영상에서 T1WI상은 주요하게 등신호를 나타냈고, 그중 3명의 병소 내에서 편상의 저신호 구역을, 3명의 병소 중심에서 방사선 형태의 저신호 구역을 볼 수 있었으며, 1명은 균일한 등신호를 나타냈다. T2WI상은 주요하게 복잡한 고신호를 나타냈고, 그중 3명은 불균일한 고신호를 나타냈으며, 3명의 병소 중심에서 방사선 형태의 저신호 구역을 볼 수 있었고, 1명은 균일한 고신호를 나타냈다. 스캔 강도를 강화할 때 13명 중 4명 환자에서 거칠고 굵은 혈관을 볼 수 있었다. 강화 정도: 1명은 약한 정도로 균일하게 강화 하고, 12명은 중간-심한 정도로 강화하였는데 그중 7명 병소 내에서 편상의 비강화 구역을, 3명의 병소 중심에서 방사선 형태의 진행성 강화 구역을 볼 수 있었고, 2명은 균일하게 강화하는 현상을 나타냈다. 병리조직학 검사 결과, 방사선 형태의 진행성 강화 구역은 콜라겐 섬유 성분이다. 수술 후, 2명 환자에서 국부적인 재발이 있었고 1명은 간에 전이가 되었다. 전반적으로 골반 부위 SFT는 일반적으로 실질성, 경계선이 분명하고 혈액 공급이 풍부한 종양을 나타내며, 서로 다른 정도의 괴사와 낭변을 동반하고 근접한 기관 구조를 밀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병소 중심의 콜라겐 섬유는 T2WI상에서 방사선 형태의 저신호를 나타냈고, 강화할 때 진행성 강화를 나타냈는데 이는 해당 병변의 주요 특성이며 진단에 중요한 가치를 갖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