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Craniospinal Neurenteric Cysts: Various MR Imaging Feature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ISSN 1226-9751,2288-380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eon, Se-Jeong,Sohn, Chul-Ho,Kim, Eun-Hee,Son, Kyu-Ri,Park, Sung-Hye,Chang, Kee-Hy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9-01-01
초록 목적: 신경장관 낭종은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비 종양성, 발생학적 낭종으로 다양한 자기공명 영상 소견을 보인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저자들이 경험한 두개내와 척수내의 신경장관 낭종의 다양한 자기공명 영상 소견을 보이고 설명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저자들의 병원에서 경험한 여섯 명의 신경장관 낭종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환자들의 자기공명 영상에서 병변의 해부학적 위치, 병변의 신호강도, 병변의 크기 및 조영증강형태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두 개의 두개강 내 병변은 소뇌교각과 사구체조 부위에 축 외 낭종으로 보였다. 세개의 척추 부위 병변은 경막내-척수외 낭종으로, 척수의 배측부위 위치하였고, 한 개의 흉추 병변은 척수 내 낭종이었다. 두 개의 두개강내 낭종과 한개의 경추부 낭종의 신호강도는 T1 강조영상에서 고 신호강도이고, T2 강조영상에서 뇌척수액과 같은 저 신호강도로 보였으며, 두개강내 병변은 모두 중등도 이상의 확산제한을 보였다. 다른 3개의 척수 병변의 신호강도는 T1과 T2강조 영상 모두에서 뇌척수액과 같은 신호강도였다. 조영증강 검사에서, 두개강 내 병변은 모두 작은 결절상 조영증강을 보였고, 한 개의 흉추부 병변은 가장자리에 환상의 조영증강을 보였다. 결론: 신경장관 낭종은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고 부분적인 결절상 또는 환상의 조영증강을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비전형적인 자기공명영상소견을 보일 경우, 다른 비종양성, 종양성 낭종과의 감별진단에 포함 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92473317223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Neurenteric cyst,Magnetic resonance (M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