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Influence of exogenous γ-aminobutyric acid (GABA) on GABA metabolism and amino acid contents in roots of melon seedling under hypoxia stres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Chun-yan,LI, Jing-rui,XIA, Qing-ping,WU, Xiao-lei,GAO, Hong-b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수경 재배법을 기반으로 영양액 용존 산소 농도의 정확한 조절을 통하여 외인성 γ-아미노낙산(γ-aminobutyric acid, GABA)이 저산소 스트레스를 받는 0~8d 동안 'Xiyu 1' 멜론 유묘의 근계 내 GABA 대사 및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정상적인 산소 공급 대조군에 비하여 저산소 처리의 멜론 유묘의 정상적인 성장은 심각한 억제를 받았으며, 그 근계 내 글루탐산 탈탄산효소(glutamate decarboxylase, GAD), 글루탐산 탈수소효소(glutamate dehydrogenase, GDH), 글루탐산 합성효소(glutamate synthase, GOGAT), 글루타민 합성효소(glutamine synthetase, GS), 알라닌 아미노 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아스파르트산 아미노기 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등의 활성 및 GABA, 피루브산,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등의 함량은 모두 뚜렷하게 증가되는 반면, 글루탐산과 α-케토글루타르산 함량은 스트레스 처리한 4~8d 동안에 모두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저산소 처리에 비하여, 외인성 GABA 처리는 저산소 스트레스가 유묘의 근계 생장에 대한 억제 효과를 효과적으로 완화시켰으며, 동시에 멜론 근계 내 내인성 GABA, 글루탐산, α-케토글루타르산, 아스파르트산 등 함량을 뚜렷하게 증가시켰다. 하지만 전반 처리 과정에서 GAD, GDH, GOGAT, GS, ALT, AST 활성은 뚜렷하게 감소되었으며 또한 피루브산과 알라닌 함량도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저산소 처리에 GABA와 γ-비닐기-γ-아미노낙산(viny-γ-aminobutyric acid, VGB) 처리를 추가할 경우에는 저산소 스트레스에 의한 GABA의 완화 효과가 뚜렷이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저산소 스트레스 조건에서 외인성 GABA를 식물 근계에 흡수시킨 뒤, GAD 활성의 피드백 억제를 통하여 높은 Glu 함량, 식물체내 탄소 및 질소 대사의 평형, 정상적인 생리 대사 등을 유지시킴으로써 저산소 스트레스가 멜론 유묘에 대한 손상을 완화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2868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elon,hypoxia stress,γ-aminobutyric acid,GABA metabolism,amino acid.,멜론,저산소 스트레스,γ-아미노낙산,GABA 대사,아미노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