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Starvation에 의해서 down-regulation 되는 유전자 10개를 얻었다(Comt, RGN, Scd1, Temt, Idi1, Fabp5, Car3, Cyp2c70, Pinx1, Poldip3). 이들은 starvation에 의한 대사변화의 대부분은 liver와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Starvation중에 물 공급은 암수 동일하게 apoptosis, autophage, endoplasmic reticulum quality control (ERQC)유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같이 starvation에 의해서 down-regulation되는 유전자발현조절이 liver에 국한된 것이라기보다는 개체의 항상성유지에 관련 많은 pathway가 관련되어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간의 간혈 starvation은 glucose소비가 많은 brain과 면역기능조절에 중요한 thymus의 정상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 Scd1의 경우는 #9792;보다가 #9794;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9792;/ #9794;의 성 특이적인 대사에 starvation과 NaCl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Starvation시 물 공급도 중요하지만 개체의 항상성유지에 NaCl공급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