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Zhu, Guoping,Xu, Yiying,Xia, Hui,Li, Yingchun,Zhu, Xiaoyan,Xu, Pengxiang,Meng, Tao,Xu, Liuxiong |
초록 |
남극 크릴새우(Antarctic krill)에 대한 어업 행동(fishing behaviour)과 어장 변화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어업과 생태계의 상호 작용을 시뮬레이션하는데 아주 중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어업과학 관찰원이 수집한 2009/2010-2011/2012 어기(fishing season)의 남극 크릴새우 어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장 중심 지표를 이용하여, 중국의 남극 크릴새우 어업 어장의 변화 및 어선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작업망 횟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2009/2010-2011/2012 어기에 중국 남극 크릴새우 어장은 48.1 작은 구역(subarea)에서 48.2 subarea으로 이동하였으나, 생산량 변화는 반대 추세를 나타냈다. 작업 위치는 6개의 정밀 관리 단원에 분포하였으나, 순(period of ten days)별 어장 중심은 4개의 정밀 관리 단원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APDPW, APDPE, APBSE, SOW). 중국의 남극 크릴새우 어업 어장 선택은 현지 크릴새우 풍도(abundance)의 영향을 받았으며, 동시에 예정된 의사결정, 어선 조건 및 시장 요소 등의 영향을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