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mocline features and the rate of fishing success for free school caught by the tuna purse seiner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上海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Shanghai Ocean University
ISSN 1674-5566,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WANG, Xue-fang,XU, Liu-xiong,ZHOU, Cheng,ZHU, Guo-ping,TANG, H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수온약층(thermocline) 특성은 다랑어(tuna) 표층 어업의 포획 성공률과 연관이 있으나 수온약층 특성은 해역과 계절이 서로 다름에 따라 변화하고 따라서 포획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도 서로 다르다. 본 논문은 중서부 태평양에서 중국 다랑어 선망어업 선단(fleet)이 작업하는 어장의 수온약층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해상 실제측정의 선망어업 침강(sinking depth) 성능과 대응되는 생산자료를 결합하여 다랑어 선망어업 포획 성공률과 수온약층 특성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1) 조사기간에 91.2%의 세팅(settings) 차수가 대응하는 수온약층 상위 깊이(upper depths)는 100m를 초과하였으며, 수온약층 상위 깊이가 비교적 깊은 것은 해당 해역 어장에서 수온약층의 중요한 특징이다. (2) 선망어업의 최대 침강 깊이의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은 [185.0, 197.8]m이며, 어장에서 수온약층 상위 깊이의 95% 신뢰구간은 [146.0, 158.3]m이고, 망어구(netting gear)가 수온약층 상위를 넘은 후 계속 침강하는 깊이의 95% 신뢰구간은 [34.3, 44.0]m이다. (3) 관련분석결과, 본 연구 중 다랑어 선망어업의 포획 성공률과 수온약층 특성은 현저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는데(P gt;0.05), 이는 현지 어장에서 비교적 깊은 수온약층 상위 깊이가 목표 어종으로 하여 망어구가 수온약층에 도달하기 전에 충분한 도망시간과 공간을 소유하게 하였기 때문이며, 따라서 수온약층 내 급속히 변화하는 온도 기울기로 하여 저애작용을 잃게 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800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tuna purse seine fishery,Katsuwonus pelamis,free swimming school,rate of fishing success,thermocline,중서부 태평양,다랑어 선망어업,가다랑어,자유적 어군,포획 성공률,수온약층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