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The variation and impacting factors in CPUE index of Antarctic krill fishery around Livingston Island during fall-winter of 2012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大連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Dalian Ocean University
ISSN 2095-138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 Guo-ping,ZHU, Xiao-yan,MENG, Tao,ZHAO, Yong,XU, Yi-ying,WU, Ji-kui,XU, Liu-xi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남극 크릴새우(Antarctic krill) 어업 과학관찰원이 수집한 남극 크릴새우 어업 데이터에 기반하여 2012년 가을, 겨울철 리빙스턴 섬(Livingston Island)의 남극 크릴새우 어업 단위노력당 어획량(catch per unit effort, CPUE)의 2개 지표[시간당 생산량(catch per hour, CH)과 단위노력당 소해면적 생산량(catch per unit sweeping area, CPUA)] 변화 및 그 영향 요소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 해당 수역의 남극 크릴새우 어업 CH와 CPUA는 각각 0~84.0t/h와 0~15.0×10 3 t/km 2 이고 평균값은 각각 10.0t/h와 4.7×10 3 t/km 2 였다. 작업 수역은 주로 리빙스턴 섬(Livingston Island)의 서부 수역에 집중되었다. 남극 크릴새우 풍도가 비교적 높은 시간은 8:00~16:00 사이이며 기타 시간대에는 해당 어업의 최적 작업시간대가 아니었다. 46.2%의 작업 지역의 표면 온도는 -0.4~-0.2℃이며 43.4%의 작업 견인 깊이는 40~60m이고 78.3%의 작업 지역은 100m 얕은 수역에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802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tarctic krill,Livingston Island,catch per unit effort (CPUE),abundance,남극 크릴새우,리빙스턴 섬,단위노력당 어획량,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