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iciency of separator panels in beam trawls for crab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漁業 = Marine fisheries
ISSN 1004-24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ANG, Jian,BAI, L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전통적인 새우 잡이 빔트롤(beam trawl) 어구는 망목 크기(mesh size)가 작고 어획 대상이 번잡하며 선택성이 떨어졌다. 망목형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어구의 선택성 어획을 실현하는 것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본 논문에서는 2005년 입추후 강물이 불어나는 시기에 뤼쓰(Lvsi) 어장 빔트롤 어업에서 망목 크기가 각각 60, 75 그리고 90mm인 분리판의 해상 생산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게류 어획을 연구대상으로 분리판이 어획에 대한 분리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험 결과, 개체 접촉 분리판 확율과 분리판이 개체에 대한 유보율(Retention rate)을 기초로한 분리 효율 모델을 사용하여 게류 등딱지 길이(carapace length) 분포 데이터에 대하여 커플링 한 결과 망목 크기가 커짐에 따라 분리판이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와 깨다시꽃게(Ovalipes punctatus) 50%에 대하여 등딱지 길이를 유보하였는데 유보율 범위가 모두 커졌다. 하지만 위에서 서술한 2가지 게류 개체가 상이한 망목 크기 분리판을 접촉하는 확율에는 뚜렷한 일치성 변화 추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게류가 빔트롤 그물 부위에 닿았을 경우 일정한 수영 능력과 수영 높이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이는 아래로 경사진 분리판을 사용하는 것은 구조와 장비상 비교적 합리적임을 반영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8014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eam trawl,separator panels,swimming crab,sand-looking crab,separating efficiency,빔트롤,분리판,꽃게,깨다시 꽃게,분리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