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 New Method to Assess the Population of Sthenoteuthis oualaniensis in South China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漁業科學進展 = Progress in fishery sciences
ISSN 2095-986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FENG, Bo,YAN, Yun-rong,ZHANG, Yu-mei,YI, Mu-rong,LU, Huo-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남중국해(South China Sea)의 Sthenoteuthis oualaniensis 자원량과 분포 상태를 이해하고자, 집어등 어선에 구축된 베이더우싱퉁(Beidou Xingtong Co., Ltd) 어업 정보 수집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남중국해 Sthenoteuthis oualaniensis의 생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집어등에 의한 조업작업의 특성에 근거하여, 광유도 자원량 평가 모델을 구축한 후, 크리깅 보간법 (Kriging 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남중국해 Sthenoteuthis oualaniensis의 분포 밀도도를 제작하였으며, 그 총 자원량과 연간 허용 어획량(allowable catch)을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Sthenoteuthis oualaniensis는 남중국해에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 110.5°?111.5°E, 11°?12°N 사이 해역과 115.5°?116.5°E, 9.5°?11.5°N 사이 해역의 자원 밀도가 가장 높았는데, 모두 4 t/km 2 이상이었다. 112°?112.5°E, 14.5°?15°N 사이 해역과 113°?115°E, 15°?16.5°N 사이 해역의 단위노력당 어획량(catch per unit effort, CPUE)이 가장 높았는데, 1 kg/(kW·d·km 2 ) 이상이었다. 크리깅 보간법(Kriging interpolation)에 근거하여 추정한 결과, 남중국해의 108°?118°E, 9°?20°N 사이 359개 조업지역의 Sthenoteuthis oualaniensis 자원량은 204.94 만t, 총 허용 어획량은 99.40 만t이었다. 평가 결과, 남중국해는 Sthenoteuthis oualaniensis 자원의 개발 잠재력이 높으며, Sthenoteuthis oualaniensis는 향후 난사(Nansha)지역 어업의 주요한 개발 어종으로 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304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thenoteuthis oualaniensis,Biomass,Light falling net,Light attractive model,South China Sea,Sthenoteuthis oualaniensis,자원,집어등-덮그물,광유도 모델,남중국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