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본 논문에서는 유엔식량농업기구(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의 1955년~2011년 어획물 포획량 자료를 이용하여 중국 해역(중국 대륙 해역, 타이완 해역, 홍콩 해역과 마카오 해역)의 129종 어획물의 영양급 지수 변화 특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950년~1974년 사이 중국 해양의 영양급 지수는 3.45 정도에서 변화하며 1975년~1978년에는 3.35로 낮아졌다. 1982년~1987년에는 3.25로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1996년까지 지속되었고 1997년~2011년 사이에는 3.34로 안정적으로 회복되었다. 전세계 해양 영양급 지수와 비교했을 때 1984년 이전의 중국은 전세계 수준 보다 높았으며 1984년 이후에는 전세계 수준 보다 낮았다. 생물 군집으로부터 봤을 때 어류는 중국의 해양 영양급 지수에 가장 큰 공헌율이 있으며 73.1%와 85.8%이다. 갑각류가 그 다음이며 공헌율은 9.2%~15.5%이다. 연체동물의 공헌율이 비교적 낮았는데 3.3%~11.6%이다. 기타 무척추동물의 공헌율은 1.8%로 가장 낮았다. 과도한 포획은 중국의 일부 어획물이 기존의 수명이 길고 영양등급이 높은 저층어류로부터 수명이 짧고 영양등급이 낮은 무척추동물과 중상층 어류로 변하였다. 어업 포획 허가 관리 제도, 금어기와 금어구역 제도, 해양 포획 생산량의 '제로 증가'와 '마이너스 증가' 계획, 증식 방류, 해양 보호구역 면적 확대 등 조치를 실시하는 것은 중국의 해양 영영등급 지수를 회복하는 주요 원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