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해조류의 식량자원으로서의 고도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감태, 큰잎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을 시료로 하여 유리당 및 비휘발성유기산의 조성과 그 계절적인 변화를 GLC를 이용하여 분석검토하였다. 감태, 큰잎모자반 및 외톨개모자반의 유리당조성은 3시료 모두 floridoside, galactose, glucose 및 xylose의 4종류가 동정되었으며 그 중 floridoside가 가장 많아 각각 유리당총양의 $53.4 %, ;52.8 %$ 및 $58.8 %$ 를 차지하였고 xylose가 가장 작아 각각 $8.3 %, ;7.5 %$ 및 $6.8 %$ 를 차지하였다. 계절적인 변화에 있어서는 3시료 모두 계절에 따른 뚜렷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리당총양은 감태, 큰잎모자반, 외톨개모자반의 순으로 많았다. 한편, 이들 시료의 유기산조성을 살펴 보면, 감태의 경우에서는 9종류의 유기산이 동정되었는데 양적으로 주요한 유기산은 lactic, oxalic, fumaric, succinic, malic 및 citric acid 등의 6종류이었으며 그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아 전체유기산의 $30.6 %$ 를 차지하였다. 큰잎모자반과 외톨개모자반에 있어서는 8종류의 유기산이 동정되었으며 그조성이 동일하였다. 양적으로 주요한 유기산은 양시료 모두 succinic, malic 및 citric acid로 그중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아 각각 전체유기산의 $30.9 %$ 및 $31.2 %$ 이었다. 계절적인 변화는 3 시료 모두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유기산총양에 있어서는 감태가 191.6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큰잎모자반은 103.5mg/100g이었고 외톨개모자반은 가장 적어 76.2mg/100g을 나타내었다.이한 결과를 보여 해산 갑각류 단백질 품질평가시, 소화율은 예측소화율(predicted digestibility) 측정법으로 단백효율비는 보다 정확한 in vitro 소화율 측정법의 개발을 전제로 C-PER technique를 적용함이 바람직할 것 같으며, 보다 정확한 in vitro 소화율 측정에는 선도에 따른 최초의pH,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및 TIS 함량 등이 고려된 새로운 model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18:1}, ;C_{18:2} ;,C_{22:6}$ 이 많았다.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총지질과 유사하였으며, 인지질은 양식산이 $C_{18:1}$ 과 $C_{18:2}$ 가 많았고, 또한 당지질은 천연산이 $C_{20:5}$ 와 $C_{22:6}$ 이, 양식산은 $C_{18:2}$ 가 많았다. 7. 양식어와 이들 사료중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monoene산은 사료보다 양식어쪽의 함량이 높았고, 포화산과 polyene산은 사료보다 양식어쪽이 낮은 경향이었다. 8. 천연 및 양식산 뱀장어의 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6.65 %$ 및 $15.99 %$ 로서 양자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 leucine, aspartic acid, lysine 순이었다. 가물치는 천연산이 $18.06 %$ 이며, 양식산은 $18.52 %$ 이며 천연산은 glutamic acid, alanine, glycine 및 leucine은 많았으며 양식산은 aspartic acid 및 proline이 많았다. 또한 잉어는 천연산이 $16.94 %$ , 양식산은 $20.95 %$ 로서 양식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