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Fisheries Resources in Garolim Bay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ISSN 0374-811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UR, Sung Bum,KIM, Jong Man,YOO, Jae Myu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84-01-01
초록 서산부 해안의 가로림만은 연안어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 제 1의 조력발전소 후보지로 전망되고 있어 매우 중요한 해역이다. 조력발전소가 설립될 경우 이 해역의 모든 해양생태계는 변하게 될 것이므로, 조력발전소 설립 이후의 영향평가와 종합적인 만의 이용개발을 위해서는 건설이전의 어업자원은 정확히 파악되어야만 할 것이다. 1981년 1년간 이 해역에서의 어류 출현분포조사결과 46종의 성어어류와 3종의 어난 및 25종의 치어가 동정분류되었다. 월별 정점별 난치어의 출현분포를 볼 때 가로림만의 내만은 겨울철에 산란한 배도라치류, 까나리 등의 성육장뿐 아니라 봄이나 여름에 산란하는 망둑어류, 멸치, 밴댕이, 동갈양대류, 가자미류 등의 중요한 산란장으로 판단된다. 1978년부터 1980년까지의 종별 어획자료를 참고할 때 가로림만에서의 어업은 봄철 어업과 가을철 어업으로 크게 구분되며 중요한 어종은 베도라치류 치어와 망둑어류, 숭어, 밴댕이 등이며 중요 양식종으로는 굴, 김, 반지락 등이다. 가로림만 입구에 조력발전소가 설립될 경우 베도라치류 및 까나리 치어자원과 숭어, 밴댕이, 전어 등과 같은 회유성 어종은 회유로가 차단되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것이며, 해수의 물리 ${ cdot}$ 화학적 환경변화는 저서생물 자원에 큰 피해를 줄 것이다. 따라서 조력발전소 건설 이후 만의 합리적 이용개발을 위해서는 현재의 어업자원을 포함한 전반적인 생태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조력발전소의 수문의 위치 및 크기 등의 공학적인 설계는 이러한 생태학적 특성을 고려하여야만 할 것이다.u}m$ , 복흡반 $630{ sim}680{ times}610{ sim}680{ mu}m$ , 두관부는 $48{ sim}75{ times}10{ mu}m$ 의 두극 31개가 배열되어 있다. 충난은 $92{ sim}95{ times}58{ sim}60{ mu}m$ 의 크기이다. H. kusasigi의 제이중간숙주는 백합이며 종숙주는 괭이갈매기 및 삑삑도요새이다. $PO_{4}^{3-}$ 이었으며, lysine, alanine, isoleucine, aspartic acid 및 creatinine 등이 맛의 조화에 기여하고 있었다.식품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udomonas 101 균주가 생성한 효소는 alkaline protease였으며, 효소의 활성 최적조건은 pH 9.0, $53^{ circ}C$ 였으며 pH $5.0{ sim}11.0$ , 온도 $30{ sim}50^{ circ}C$ 범위에서는 효소활성이 강했다.음이 PE로 $15.74{ sim}24.92 %$ 를 차지하고 있었다. 4. 유리 및 결합지질 중의 극성지질의 중요 구성 지방산은 $C_{16:0} ;(17.53 %, ;19.29 %)$ , $C_{18:1} ;(24.57 %, ;16.08 %)$ , $C_{18:2} ;(8.39 %, ;4.03 %)$ , $C_{22:5} ;(1.68 %, ;8.08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842210592597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