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우리나라 서해남부해역의 새우류 어획물에 대한 자원생물학적 연구 -1. 어획물조성과 젓새우류의 산란시기-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ISSN 0374-811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오철웅,정인주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2-01-01
초록 우리나라 새우류 생산의 $45 %$ 이상을 차지하는 서해남부해역의 새우어업에 대한 어획물 조성뿐만 아니라 주요 어획대상종인 젓새우류 (Acetes japonicus, A. chinensis)의 자원생물학적 특성치로서 성비, 체장과 체중 및 포란수와의 상관관계와 그들의 산란시기를 조사하였다. 어장에서 이용되는 주머니얽애그물의 어획물을 2000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매월 채집하였다. 총 59종이 출현하였으며 새우류 14종, 어류 34종, 기타 갑각류 8종 및 두족류 3종으로 나타났다. 조사기간동안 새우류에 대한 부수어획물의 비는 2000년 4월에 2.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00년 8월과 2001년 2월을 제외하고 전 기간동안 1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지역이나 다른 국가에서 행해지는 새우어업과 비교해 볼 때 본 어법은 새우류에 대한 어구선택성이 탁월하고 다른 어종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것을 지적해 주고 있다. 본 연구지역에서 출현량이 가장 많은 분류군은 젓새우류 (A.ja-ponicus, A. chinensis)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 성비는 젓새우의 경우 1.44 $ pm$ 0.42, 중국젓새우의 경우 1.44 $ pm$ 0.43으로 나타나 두 종 모두 암컷이 더 많이 출현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8월에 암컷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젓새우의 평균 포란수는 4,812 $ pm$ 1,511개로 나타났으며, 중국젓새우의 평균 포란수는 5,561 $ pm$ 1,900개로 나타났다. 두 종에 있어서 성숙한 암컷개체는 5월에서 8월까지 나타났다. 또한 생식소 숙도지수 (GSI)는 7월과 8월에 높게 나타났으며, 7월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들의 산란시기가 여름이라는 것을 지적해 주고 있다. 명태와 옥수수 단백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이중필름이 명태 단백질 단독으로 제조한 필름에 비하여 L값과 a값은 낮고 b값과 $ Delta$ E값은 높았다19 ~l.27gC/m^{2}/day$ 범위에 평균 $0.62gC/m^{2}/day$ 로 나타났다 9월에 1.12gC/m^{2}/day$ 의 높은 값을 나타낸 이후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2월에 0.19gC/m^{2}/day$ 의 최소 값을 나타내었으며, 봄철로 접어들면서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5월에 $1.27gC/m^{2}/day$ 의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P $100 %$ $FM; LCM_20$ , $80 %$ $FM+20 %$ $LCM; LCM_40$ , $60 %$ $FM+40 %$ $LCM; LCM_60$ , $40 %$ $FM+60 %$ $LCM; LCM_100$ , $100 %$ $LCM; LCM_20$ l, $80 %$ $FM+20 %$ $LCM+0.07 %$ $Lysine; LCM_40$ l, $60 %$ $FM+40 %$ $LCM+0.14 %$ $Lysine; LCM_60$ l $40 %$ $FM+60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022483938575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Catch composition,Landing,Bycatch,Sex ratio,Fecundity,GSI,Spawning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