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patial-temporal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catch rate on Antarctic krill fishery in the South Georgia Island in the austral winter season based on the fine scale dat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生態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cology
ISSN 1001-933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ZHU, Guo-ping,LIU, Zi-jun,XU, Guo-dong,ZHANG, Ji-chang,MENG, Tao,HUANG, Hong-liang,XU, Yi-ying,ZHU, Xiao-yan,XU, Liu-xi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남조지아섬(South Georgia Island) 수역은 남극 크릴새우 어업의 주요 어장이며 동시에 해당 수역의 남극 크릴새우는 해당 섬에서 서식하는 수많은 포식자(즉 바다표범, 고래 등)의 먹이감이기도 하다. 따라서, 해당 섬 수역 내 남극 크릴새우의 자원 풍부도를 조사하는 것은 남극 생태계를 한층 더 깊이 알아가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 스케일의 어업 데이터에 일반화 가법 모형(generalized additive model, GAM)을 이용하여 2013년 겨울철의 남극 크릴새우 어획률과 환경인자 사이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해당 모델의 어획률에 대한 총 편차 해석에 따른 비율은 32.0%였으며 그중 기여가 가장 큰 것은 기여율이 21.4%인 10일 주기였다. 다음으로 기여가 큰 것은 위도였지만 기여율은 겨우 4.4%밖에 되지 않았다. 7월 상순부터 9월 상순까지, 어획률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어장의 동쪽 특히 중동부 해역의 어획률은 비교적 높았지만 북쪽의 어획률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형 변화 정도의 증가에 따라 평균 어획률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4급 이하의 풍력은 어획 작업에 적합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획률도 높은 수준에 처해 있었다. 풍향은 어획률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해수면 온도가 0.5~2.0℃ 범위 내에서 해수면 온도의 증가에 따라 평균 어획률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429053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ntarctic krill,South Georgia Island,generalized additive model,catch rate,environmental factor,남극 크릴새우,남조지아섬,일반화 가법 모형,어획률,환경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