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Stable Carbon Isotope Ratio Analysis of Yellow Soil as Feed Additive for Juvenile Sea Cucumb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海洋大學學報 . Journal of ocean university of China 自然科學版
ISSN 1672-517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IN, Bo-chang,DONG, Shuang-lin,LIN, Guang-hu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3-01-01
초록 대량의 바다 진흙을 해삼 사료 첨가물로 사용하면 연안 기저 환경에 일정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대체물을 찾는 것은 기존 해삼의 대규모 육종 및 양식에서 해결하여야 할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색토로 바다 진흙과 녹조구멍갈파래(Ulva pertusa) 혼합 해조가루를 대체하여 해삼 먹이로 하였으며 두가지 방법이 해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안정성 동위원소 비례법으로 해삼의 흡수 및 이용 상황을 연구하였다. 실험에서 20%의 황색토, 바다 진흙 및 80%의 해조가루(건조무게)를 혼합한 사료로 7.5%의 해삼 유어 체중에 근거하여 60일간 사육하였다. 실험 결과, 황색토 그룹과 바다 진흙 그룹에서 해삼의 특정 생장율 SGR은 각각 (1.95±0.13)%·d -1 와 (1.72±0.17)%·d -1 이다. 황색토, 녹조구멍갈파래가 해삼 먹이 래원(source)에 대한 공헌율은 각각 (9.78±1.37)%와 (90.22±1.37)%이며 바다 진흙, 녹조구멍갈파래가 해삼 먹이 래원에 대한 공헌율은 (9.89±1.47)%와 (90.11±1.47)%이다. 이상의 여려 지표는 황색토 그룹 해삼과 바다 진흙 그룹 사이에서 큰 차이가 없다(P gt;0.05). 연구 결과, 황색토로 바다 진흙을 대체하는것이 해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해삼의 흡수 및 이용은 명확한 차이가 없으며 대체 가능성이 있다. 황색토로 다바 진흙을 대체하면 해삼 사료의 성본을 낮추고 얕은 해저 환경에 대한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9792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Apostichopus japonicus,stable carbon isotope ratio,sea mud,yellow soil,해삼,안정성 동위원소,바다 진흙,황색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