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LIPID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OF ADVANCED FIGERLING BLACK CARP(MYLOPHARYNGODON PICE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水生生物學報 = Acta hydrobiologica Sinica
ISSN 1000-320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HEN, Jian-ming,SHEN, Bin-qian,PAN, Xi,SUN, Li-hui,JIANG, Jian-hu,YE, Jin-yu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5가지 사료 단백질(dietary protein) 수준(30%, 33%, 36%, 39%, 42%)과 지방 수준(6%, 9%)의 5×2 요소 실험을 설계하였으며, 10가지 실험 사료를 배합하여 10개 그룹의 평균 체중이 95.5g인 2년생 청어(Mylopharyngodon piceus)에게 3번 중복하여 섭식시키는 것을 통하여 서로 다른 단백질과 지방 수준이 청어의 성장과 체조성(body composition)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물고기 체중은 사료 단백질 수준을 30%에서 39%로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계속 증가되었고(P 0.05), 사료 계수는 사료 단백질 수준을 30%에서 39%로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감소되었고(P 사료 단백질, 지방 수준 및 그 상호 작용이 실험 물고기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gt;0.05). 사료 지방 수준, 사료 단백질과 지방의 상호 작용이 물고기 체중 증가, 사료 계수, 섭식율과 단백질 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두렷하지 않았다(P gt;0.05). 단백질 수준이 30%와 33%인 사료를 섭식한 청어는 단백질 수준이 36%~42%인 사료를 섭식한 청어에 비하여 수분 함량이 비교적 낮았고 지방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P 청어의 내장-체중 비율(viscera-somatic index)과 근육 조지방 함량은 사료 내의 단백질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추세였다. 지방 수준이 9%인 사료를 섭식한 청어는 지방 수준이 6%인 사료를 섭식한 청어에 비하여 내장-체중 비율, 물고기의 지방 함량과 근육 조지방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P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어가 저단백질과 고지방 사료를 섭식하면 과량의 체지방이 축적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실험 결과, 대형 어종 청어 양식 과정에서 사료 단백질과 지방이 건조 사료에서 차지하는 적합한 수준은 각각 40%와 6%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77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ylopharyngodon piceus,Dietary protein,Dietary lipid,Growth performance,Body composition,청어,사료 단백질,사료 지방,성장,몸체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