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OF PHYTASE REPLACEMENT OF MONOCALCIUM PHOSPHATE IN DIETS FOR GIFT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FENG, Jian,WU, Bin,WANG, Fei,PENG, Qi,CHEN, Bin,LI, Xia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의 일당사료에 인산이수소칼슘 대신으로 피타아제를 첨가하는 양식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에서는 모두 7개 실험집단의 일당사료를 설계하였다. 그중 실험집단 1의 일당사료에는 어분을 주요 단백질 원료로 하였으며, 기타 6개 실험집단의 일당사료에는 대두박을 주요 단백질 원료로 하고 피타아제의 첨가량을 일당사료의 0.1%(효소 활성이 2000U/g)로 하며 일당사료에 각각 2.5%, 2.0%, 1.5%, 1.0%, 0.5% 및 0%의 인산이수소칼슘을 첨가하였다. 각 일당사료마다 3개 병행 그룹을 설계하고 각 병행 그룹마다 20마리 물고기[(1.9±0.1)g]씩 실내 시멘트로 된 양식장 가두리에서 60d 동안 사육하였다. 그 결과, 7개 실험집단의 어류 생존율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P gt;0.05). 어분 일당사료 집단에서 어류의 성장 효과와 사료 효율, 전체 몸통, 비늘, 척추의 칼슘 및 인 함량, 배설물의 인 함량 등은 대두박 실험집단의 어류보다 모두 뚜렷하게 높았다(P 0.05). 실험집단 2, 3, 4의 어류 전체 몸통, 비늘 및 척추의 칼슘 및 인의 함량 등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P gt;0.05), 모두 실험집단 5, 6, 7의 어류보다 뚜렷하게 높았다(P 결론적으로, 대두박을 주요 식물성 단백질 원료로 하는 나일틸라피아의 일당사료에 피타아제을 첨가하는 것은 일당사료의 유효인(available phosphorus)을 증가할 수 있었으며, 또한 일당사료에서 약 40%의 인산이수소칼슘 첨가를 줄일 수도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2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reochromis niloticus,phytase,monocalcium phosphate,plant protein,calcium and phosphorus deposition,나일틸라피아,피타아제,인산이수소칼슘,식물성 단백질,칼슘 및 인 축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