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U, Kang,HUANG, Xiao-sheng,JIN, Jie-nan,LI, Nan,ZHANG, Xue-zhen |
초록 |
누에콩(Vicia faba)을 약 100일 투여시킨 후 초어(Ctenopharyngodon idellu)의 근육 탄성 및 씹힘성(chewiness)이 증가하였고, 근육 품질이 개선되었다. 해당 방법으로 양식한 초어를 “Crisp grass carp”라고 한다. 본 논문은 Crisp grass carp의 근육 품질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생체의 생물학적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실험으로 누에콩 투여 및 상업용 배합사료 투여 방법으로 초어를 양식하는 과정에서(30d, 60d, 100d) 초어 생체의 항산화 능력 및 면역 기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누에콩 사료 투여는 초어의 혈청 총 항산화 능력(total antioxidant capacity, T-AOC), 혈청 말론알데히드(malondialdehyde, MDA) 함량 및 간췌장 과산화물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에 두렷한 영향을 미쳤지만 간췌장 T-AOC, MDA 함량, 글루타티온(glutathione, GSH) 함량 및 혈청 SOD 활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을 30일과 60일 진행하였을 때 누에콩을 투여한 초어 생체의 항산화 능력은 배합사료를 투여한 초어에 비하여 높았지만, 실험을 100일 진행하였을 때 2가지 양식 방식의 초어 생체 항산화 능력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누에콩 투여가 초어의 면역 기능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실험을 100일 진행하였을 때 누에콩을 투여한 초어의 혈액 적혈구 수량(RBC) 및 백혈구 수량(WBC)은 배합사료를 투여한 초어에 비하여 뚜렷하게 높았다. 누에콩을 투여한 초어의 혈청 총 단백질(total protein, TP), 알부민(albumin, ALB), 글로불린(globulin, GLB) 함량은 실험을 30일 진행하였을 때 배합사료를 투여한 초어에 비하여 뚜렷하게 낮았고, 실험을 60일 진행하였을 때 배합사료를 투여한 초어에 비하여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실험을 100일 진행하였을 때 배합사료를 투여한 초어에 비하여 뚜렷하게 낮았다. 누에콩 투여는 비장 지수(spleen index) 및 비장(spleen) 중의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으며, 실험 말기에 누에콩을 투여한 초어 비장 중의 IL-1β, MHCⅡ, IFN-1, TNF-α 발현량은 배합 사료를 투여한 초어에 비하여 뚜렷하게 높았다. 연구 결과, 누에콩 투여 초기에 생체의 항산화 능력이 증가되었고, 투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생체의 항산화 능력은 배합사료를 투여한 초어와 같은 수준으로 감소되었으며, 누에콩 투여로 인하여 초어 생체에는 면역 응답이 생성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