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ETARY SELENIUM REQUIREMENT OF JUVENILE LARG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U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水生生物學報 = Acta hydrobiologica Sinica
ISSN 1000-320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CAO, Juan-juan,ZHANG, Wen-bing,XU, Wei,MAI, Kang-sen,SUN, Rui-jian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은 부세(Larimichthys croceus)의 사료 셀레늄(selenium)에 대한 수요량(requirement)을 확정하기 위해 Na 2 SeO 3 을 사료 셀레늄 원료로 하여 6가지 사료를 배합하였다. 셀레늄 첨가 수준을 각각 0(대조 그룹), 0.05, 0.2, 0.4, 0.6과 0.9 mg/kg로 설정한 후, 측정한 실제값은 각각 0.08, 0.16, 0.27, 0.44, 0.66과 0.96 mg/kg이었다. 부동식 그물 가두리(floating type of net cage)에서 초기 체중이 (9.14±0.09)g인 부세 치어를 10주(week) 양식한 결과, 체중 증가율(weight gain rate, WG), 생체 및 골격에 함유된 셀레늄 함량은 사료 셀레늄의 함량 증가에 따라 뚜렷하게 증가되었다(P 사료에 함유된 셀레늄이 각각 0.27, 0.66, 0.66 mg/kg을 초과하였을 때 상술한 지표의 변화 추세는 안정한 추세였다. 사료에 함유된 셀레늄(Se) 함량이 생존율(SR), 사료 효율, 체성분 조성, 간 중량 지수(hepatosomatic index, HSI), 내장 중량 지수(viscerosomatic index, VSI) 및 비만도(condition factor)에 대하여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 gt;0.05). 혈액에서 글루타티온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 GPX) 활성, 과산화물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및 총 항산화 능력(total antioxidant capacity, T-AOC) 등은 사료에 함유된 셀레늄 함량 증가에 따라 처음에 증가되고 나중에 안정되는 추세였고(P 간(liver) 중에서 GPX 활성, SOD 활성, T-AOC, 카탈라아제(catalase, CAT) 활성과 혈청 중의 대응되는 효소의 활성은 같은 추세를 보였다. 간에서 글루타티온 S-전달효소(glutathione S-transferase, GST)의 활성은 사료에 함유된 셀레늄 함량 증가에 따라 처음에 감소되고 나중에 증가되는 추세였으며(P WG를 평가지표로 하여 부세 치어의 사료에 함유된 셀레늄에 대한 수요량이 0.178 mg/kg인 것을 확정하였다. 생체 및 골격에 함유된 셀레늄 함량, 간 중에서 GPX 활성을 평가 지표로 하여 부세 치어의 사료에 함유된 셀레늄에 대한 최소 수요량이 각각 0.575, 0.387 및 0.440 mg/kg인 것을 확정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81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Large yellow croaker,Selenium,Growth,Antioxidation,Requirement,부세,셀레늄,성장,항산화,수요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