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仔魚)에서 분리(分離)한 장관백탁증(腸管白濁症)의 원인균(原因菌)인 Vibrio sp.(INFL group)의 생물학적(生物學的) 및 생화학적(生化學的) 특성(特性)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魚病學會誌= Journal of fish pathology
ISSN 1226-081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정백,노섬,송춘복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1995-01-01
초록 1991년(年) 12월(月)에서 1992(년)年 4월(月) 사이에 제주도내 종묘배양장에서 사육중이던 넙치자어에서 소화관이 백탁되거나 궤양을 일으키는 질병이 발생하여 대량폐사를 일으켰다. 병든 자어의 소화관으로부터 Vibrio 속(屬) 세균을 분리하였고, 형태학적(形態學的), 생물학적(生物學的) 및 생화학적(生化學的) 성상(性狀)을 조사한 결과, 본병의 원인균을 Vibrio sp. INFL group으로 동정하였다. 본병은 rotifer 등(等)의 먹이생물을 매개로 하여 경구감염시킨 결과 자연감염 증상이 재현되었다. 분리균이 잘 발육할 수 있는 온도의 범위는 $25 sim30^{ circ}C$ , 식염농도의 범위는 2.0~4.0% 그리고 pH는 6.0~8.0이었다. 분리균은 oxytetracycline, nalidixic acid, kanamycin 및 novobiocin 등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나 ampicillin, erythromycin, spiramycin 및 sulfa-drug에는 내성을 나타내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19950706608011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넙치,장관백탁증,Flounder Larvae(Paralichthys olivaceus),Vibrio sp.,Intestinal necr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