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타이타늄 산화물층을 도입한 고분자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 연구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새물리 = New physics
ISSN 0374-4914,2289-004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이현호,김희주,김진영,조신욱,박성흠,김선희,이광희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5-01-01
초록 갭 정션(gap junction)은 다양한 세포에 분포되어 있으며 분자 수준의 작은 물질들이 자유롭게 교환되는 전기적 시냅스다. 망막에서, 갭 정션의 차단이 동물의 동작 감지(motion detection)에 실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조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망막 세포간의 전기적 시냅스를 조절하는 약물이 금붕어의 동작 감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시각운동 반응(optometer response, OMR)이 사용되었다. 갭 정션 차단제인 carbenoxolone, 8-bromo cyclic AMP, sodium nitroprusside (SNP), 8-bromo-cyclic GMP 등의 초자체 내 주사는 광- 및 암-상태에서 모두 OMR을 감소시켰다. 광-상태에서 dopamine, SKF-38393 및 eticlopride의 주사는 OMR을 감소시킨 반면 SCH-23390의 주사는 OMR을 증가시켰다. 암-상태에서는 결과가 반대로 나타났다: 즉 dopamine, SKF-38393 및 eticlopride의 주사는 OMR을 증가시킨 반면 SCH-23390의 주사는 OMR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망막 세포들 사이의 갭 정션이 금붕어의 동작 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480561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