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HTL에 사용되는 유기저분자 물질 NPB 박막의 광학적 성질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새물리 = New physics
ISSN 0374-4914,2289-0041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박명희,박효영,이순일,고근하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08-01-01
초록 양공이동속도가 빨라 다층구조 OLED에서 양공주입층 (HIL : hole injection layer) 이나 양공수송층 (HTL : hole transport layer) 물질로 많이 사용되어 온 유기저분자 NPB(N,N′-bis(1-naphthyl)-N,N′- diphenyl-1,1'′-biphenyl-4,4′-diamine)를 실리콘과 슬라이드유리 기판위에 2 × 10 -6 Torr의 진공에서 열 증착기를 이용하여 1.0 Å/sec의 속도로 증착하였다. 진공증착법으로 단일박막 제작 후 1.5 ~ 4.5 eV 광 에너지 영역에서 분광타원해석스펙트럼을 측정 ㆍ 분석하여 NPB의 광학상수의 값을 결정하였다. 분석에는 Jellison Modine 분산관계식에 Bruggeman의 유효매질이론을 더하여 공기/박막+공극 (void)/기층의 3상계 모델을 적용시켰다. 결정된 광학상수는 측정된 흡광도와 소광계수로부터 계산된 흡수계수의 비교로 검증하였다. 측정한 PL 스펙트럼을 Gaussian function으로 분해하여 흡광도와의 거울상도 확인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029151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유기발광다이오드,NPB,Jellison Modine 분산관계식,광학상수,OLED,NPB,Jellison Modine dispersion function,Optical const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