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WANG, Li-sha,LI, Yong,SHEN, Jian-lin,LIU, Xin-liang,FU, Xiao-qing,SHI, Hui,HUANG, Tie-ping |
초록 |
토양 비옥도 평가(soil fertility evaluation)는 농업 구조 조절, 토양 개량과 과학적인 시비 등을 추진하는데 중요한 지도적 역할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창사현(Changsha county, Hunan province)에서 2007~2010년까지의 토양 비옥도 조사 및 평가 사업을 기반으로 토양 비옥도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 조건,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논밭 기본시설 건설 등 분야의 22개의 지표를 선발하고, 실제 생산량과 잠재수량(potential yield) 비를 비옥도의 높고낮음을 평가하는 대체 지표로 하여 회귀나무 통계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모작 지역의 논토양 비옥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고 모델링하였다. 연구 결과, 해발, 지형 위치, 논밭 경사도, 배수 능력, 물 주입 방법, 토양 모생물(soil parent material), 토양 성질, 경작층 두께, 토양 내 유기물 함량과 유효 질소 함량은 중국 창사현의 이모작 논토양 비옥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 10개의 인자를 이용하여 지력 특성을 비교적 우수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나무 방법으로 대용량, 다변량 데이터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분석하면 좋은 효과가 있어 중국 기타 지역의 토양 비옥도 평가에 보급하여 이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