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arasitoids and Entomopathogens in Overwintering Larvae of Ostrinia furnacalis in Chin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中國生物防治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logical control
ISSN 2095-039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UAN, Xiao-li,HE, Kang-lai,WANG, Zhen-ying,WANG, Xin-ying,LI, Q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중국 주요 옥수수 생산지역의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 월동 세대 유충 천적과 병원균의 기생 정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2년간 가을철에 14개 성, 20개 곳에서 총 14,984 마리 조명나방 월동 유충을 수집하여 실내 (26±1)℃, RH(70%±10%), 광주기 16L:8D의 환경에서 사양하였다. 주요 병원균 Bacillus thuringiensis와 백강균(Beauveria bassiana) 및 주요 기생성 천적 곤충 Macrocentrus cingulum, Lydella grisescens와 송곳자루맵시벌[Eriborus terebrans(Gravenhorst)]의 각지에서 기생률을 명확히 하였다. 각지 월동 유충의 Bacillus thuringiensis 감염에 의한 사망률은 36.2%이고, 백강균 감염에 의한 사망률은 14.4%이었다. Bacillus thuringiensis와 백강균의 감염률은 중국 동북 봄철 옥수수 지역에서 연도 사이에 변동이 있었으며, 여름철 옥수수 및 기타 옥수수 생산지역에서 Bacillus thuringiensis 감염률은 백강균에 비해 뚜렷하게 높았다. Macrocentrus cingulum과 Lydella grisescens는 각지에 보편적으로 분포되었으며, 기생성 천적 곤충의 우점종이었고 기생 치사율은 각각 7.0%와 5.1%이었다. 송곳자루맵시벌은 북부 봄철 옥수수 지역의 하이룬(Hailun), 선양(Shenyang), 잉셴(Yingxian)과 여름철 옥수수 지역의 바오딩(Baoding) 등 소수 지역에서만 발생하였으며 기생률 천적 곤충 기생 사망률에 비해, 병원균 감염에 의한 사망률은 비교적 더 뚜렷하게 높았으나 연도 사이 변동이 비교적 컸다. 이로부터 Bacillus thuringiensis와 백강균은 옥수수 생산지역 조명나방 월동 유충의 주요 치사 인자이며 변동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Macrocentrus cingulum과 Lydella grisescens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치사 인자이며 송곳자루맵시벌은 지역 특이성을 갖고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566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Ostrinia furnacalis,overwintering larvae,pathogen,parasitoid,조명나방,월동 유충,병원미생물,기생성 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