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its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a newly excavated landscape river.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態學雜志 = Chinese journal of ecology
ISSN 1000-4890,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Yu-ping,LIU, Cai-hong,ZHANG, Yao-yao,ZHANG, Wei,LIU, Xin-pu,WANG, Li-qi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2011년 12월~2012년 11월까지 새로 개척한 경관 하수로(landscape river)-상하이(Shanghai) 린강의 B 항구(port B in Lingang)에서 매월 1차씩 식물플랑크톤(phytoplankton) 및 수질 지표(water quality index)를 측정하는 것을 통하여 해당 하수로의 식물플랑크톤 군락 구조 및 그 환경 인자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식물플랑크톤을 7문 223종을 검출하였는데 그 중에서 녹조식물문(chlorophyta)이 제일 많고, 그 다음으로 남조식물문(cyanophyta)이 많았으며, 식물플랑크톤 군락의 변화 범위는 7.52×10 6 ~212×10 6 cells/L이고, 평균 수량은 66.27×10 6 cells/L이며, 풍수기(wet season)에 개체 수량은 가뭄기(dry season)에 비하여 많았다. 그러나 식물플랑크톤의 수량은 식물플랑크톤 군락과 반대인 것으로써 각 계절에 우점종(dominant species)의 변화는 크지 않았고 주로 남조식물문의 Merismopedia spp.이었다. 규범적 대응 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을 진행한 결과, 식물플랑크톤은 4개 구간에 균일하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하수로의 수계(river system)가 4계절이 선명한 아열대 기후 특성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및 규범적 대응 분석을 진행한 결과, 하수로 식물플랑크톤 군락의 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제일 큰 환경적 인자는 염도(salinity), 염양염(TN 및 TP)이며, Chroococcus minor, Merismopedia glauca, Tetraedron tumidulum 및 Synedra sp.는 염도의 지표 개체로 될 수 있고, Fragilaria brevistriata, Synedra acus, Ntizschia closterium 및 Chroococcus tenax는 유기오염 지표 개체로 될 수 있는 잠재적 가치가 있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10058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phytoplankton,environmental factors,principal component analysis,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Port B in Lingang,식물플랑크톤,환경 인자,주성분 분석,규범적 대응 분석,린강 B 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