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만경강과 동진강 하천토사의 이화학전 특성과 형태별 인 함량을 조사한 결과 하천토사의 총인 함량은 만경강에서 $290.1{ sim}405.4mg/kg$ 수준으로 평균 363.4 mg/kg을, 동진강에서는 $304.1{ sim}431.7mg/kg$ 수준으로 평균 353.6 mg/kg을 나타냈고 조사지점 모두 6월과 3월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높은 농도의 질소와 인을 함유하고 있는 농경지 표토층이 강우-유출에 의해 하천에 유입되어 영향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하천토사 내 인의 형태별 함량을 조사한 결과 만경강과 동진강에서 각 각 인회석태 인 52.1%와 42.7%, 유기태 인 27.3%와 34.2%, 비인회석태 인 18.1%와 22.5% 그리고 흡착태 인은 두 지역 모두 0.6%를 나타내었다. 하천토사 중 흡착내 인은 그 양이 매우 적어 수중생태계에 끼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나, 비인회석태 인은 혐기성 상태가 되거나 pH가 높아지면 용출이 일어날 것으로 사료되어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