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establishment of Triticum aestivum L. - Rhopalosiphum maidis (Fitch) - Propylea japonica (Thunberg) banker plant system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環境昆蟲學報 = Journal of environmental entomology
ISSN 1674-0858,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DENG, Cong-shuang,LI, Shu,WANG, Su,ZHANG, Fan,PANG, 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벡터 식물 시스템(Banker plant system, BPS)은 자연적인 자아 천적 유지 메커니즘을 통하여 논밭 및 보호 지역의 해충을 제어한다. 본 연구는 옥수수 진딧물(Rhopalosiphum maidis(Fitch)과 밀 Triticum aestivum L.로 먹이와 벡터 식물을 대체하고, 꼬마 남생이 무당벌레(Propylea japonica, Thunberg) 벡터 식물 시스템을 구축하여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을 방제하였다. 그리고 직교 실험을 통하여 벡터 식물 시스템의 각 요인 조합을 설계 최적화하였으며, 해당 시스템 번식에서 꼬마 남생이 무당벌레의 옥수수 진딧물과 표적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섭식 선택성을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꼬마 남생이 무당벌레를 가장 많이 얻을 수 있는 조합은 밀을 파종하여 4일째에 진딧물을 720마리 접합하고, 5일째에 꼬마 남생이 무당벌레의 갓 부화한 유충을 30마리 투입하는 것이다. 섭식 선택성 실험 결과에서 밀 벡터 식물로 증폭한 꼬마 남생이 무당벌레는 표적 해충인 복숭아혹진딧물을 잘 포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0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anker plant,Propylea japonica,Rhopalosiphum maidis,Myzus persicae,orthogonal arraydesign,biological control,천적유지식물,꼬마 남생이 무당벌레,옥수수 진딧물,복숭아혹 진딧물,직교 실험,생물학적 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