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nickel exposure on encapsulation rate of hemocytes of Spodoptera litura Fabricius larvae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環境昆蟲學報 = Journal of environmental entomology |
ISSN | 1674-0858, |
ISBN |
저자(한글) | XIA, Qiang,SUN, Hong-xia,LIU, Hong-yu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서로 다른 농도의 Ni 2+ 를 첨가한 사료를 연속적인 3개 세대의 경사무늬밤나비(Spodoptera litura)에게 먹였다. 그리고 5, 6령되는 유충의 혈구 세포가 겔 비드의 캡슐화(encapsulation)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새롭게 탈피한 5령 유충을 0시간으로 표기하고 유충이 6령 말 될때까지 24시간에 1회씩 겔 비드를 주사하였다. 24시간 후 벌레를 해부하여 혈구 세포의 캡슐화 상황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5 mg/kg 및 이하에서 농도가 Ni 2+ 인 1세대 경사무늬밤나비에게 스트레스를 주면 0~120시간 사이에 유충 혈구세포가 겔 비드의 캡슐화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2~3세대에 미치는 스트레스는 발육초기 0~72시간 사이의 유충 혈구세포 캡슐화 반응만 증가하였다; 10~20 mg/kg로 농도가 Ni 2+ 인 1세대에 스트레스를 가하면 0~24시간 유충 혈구세포의 캡슐화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2~3세대 유충 혈구세포 각 발육 시간의 캡슐화는 감소하였다. 이밖에, 40 mg/kg Ni 2+ 스트레스는 3개 세대에 걸쳐 각 발육단계에 있는 유충의 캡슐화 반응을 연속적으로 감소할 수 있었다. 사료 중 Ni 2+ 사용량, 스트레스 세대수 및 이 두가지 상호 작용은 유충 혈구세포의 캡슐화율에 모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58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Spodoptera litura,larvae,nickel,encapsulation,immune response,경사무늬밤나비,유충,니켈,캡슐화,면역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