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Monitoring the migration of Sitobion avenae(Fabricius) by suction trapping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應用昆蟲學報 = Chinese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ISSN 2095-135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 Ke-bin,DU, Guang-qing,YIN, Jiao,ZHANG, Shuai,CAO, Ya-zho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목적] 시간과 공간에서 보리수염진딧물[Sitobion avenae(Fabricius)]의 이주 활동 규칙 및 남부지역 사이의 곤충 자원 관계를 명확히 한다. [방법] 소형 이주성 해충을 모니터링하는 새로운 도구-흡입포획장치(Suction trap)를 이용하여, 보리수염진딧물의 이주 활동에 대해 자동, 실시간 모니터링하였다. [결과] 모니터링 및 분석 결과, 밀의 녹색화 성숙기간에 흡입포획장치 중 보리수염진딧물의 수는 여러 피크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집중된 두 시간대, 즉 주요 천이 시기와 이주시기가 있었다. 랑팡(Langfang) 지역에서, 매년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출수기부터 개화기까지) 랑팡 지역으로 이동하였고, 5월 하순부터 6월 초까지[밀 유숙기(wheat milky stage)] 랑팡에서 대량 이주하였다. 보리수염진딧물의 이주(또는 비상) 활동은 주야 주율(diurnal rhythm)을 나타냈으며, 이른 아침, 오전과 저녁은 보리수염진딧물 이주 활동의 주요 시간대이고, 밤에는 그 비상 활동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HYSPLIT 모델을 이용하여 보리수염진딧물 이주 궤적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위도가 낮은 지역에서 진딧물 수량 피크기는 위도가 높은 지역에 비해 빨랐으며, 그 진딧물 수량의 피크 날자는 뚜렷한 남북으로 수렴하는 특징을 갖고 있었다. [결론] 흡입포획장치의 모니터링은 중국 동부지역에서 남쪽으로부터 북쪽으로의 보리수염진딧물 이주 활동을 증명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117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Sitobion avenae,migration,suction trap,pest monitoring,보리수염진딧물,이주 활동,흡입포획장치,모니터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