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한글) |
박관호,최지영,남성희,김성현,곽규원,이석현,노시갑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최근 곤충자원을 이용하여 식약용 및 사료로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미래의 자원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본다. 특히, 대량으로 생산이 용이하고 유충과 번데기의 조단백질 및 무기물 함량이 우수한 아메리카동애등에는 양계 및 양어사료의 원료로써 사용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메리카동애등에의 유충 및 번데기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아메리카동애등에 번데기의 물 추출물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이 $147.8{ pm}1.6%$ 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Vitamin C(5 mg/mL)의 $109.0{ pm}0.15%$ 와 메뚜기의 $109.5{ pm}28%$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RAP을 통한 환원력 측정에서도 DPPH 결과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동애등에 번데기의 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아메리카동애등에 유충 및 번데기의 추출물은 라디칼 소거능 및 산화환원작용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번데기의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되었다. 추후 추출물의 산업적인 활용가능성을 보다 명확히 확인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406234294086 |
첨부파일 |
|